제목 | 변비와 잇몸병은 같은 것. 매일 잇솔질 하듯, 통곡물 식사로 매일 배변 | ||||||||||||||||||||||||||||
---|---|---|---|---|---|---|---|---|---|---|---|---|---|---|---|---|---|---|---|---|---|---|---|---|---|---|---|---|---|
작성자 | 닥스메디 | 등록일 | 2023.4.20 | 조회수 | 103862 | ||||||||||||||||||||||||
우리 몸 냄새, 아니 자연의 모든 냄새는 많은 경우 보이지 않는 미생물들의 작품이다. 입냄새, 방귀냄새, 씻지 않았을 때 몸에서 나는 냄새, 노인냄새. 김치냄새, 하수구냄새 등등 그 중에서도, 입냄새와 방귀냄새는 매우 흡사하다. 구강과 장의 환경이 많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일단 표로.
1. 입안의 치태(플라크)와 대변은 우리 몸에서 가장 세균의 밀집도가 높은 두개의 물질이다. 1 그람 당 조 단위로 추산된다.(Sender, Fuchs et al. 2016) 치태제거를 위해 매일 칫솔질을 한다. 하지만, 대변의 양이 치태에 비해 훨씬 더 많아서 장내세균관리가 훨씬 더 중요하다. 똥 성분의 40% 는 세균의 사체다. 매일 칫솔질을 하듯이, 매일 변을 봐야 할 이유. 2. 이런 구강세균 장내세균은 모두 공동체를 이루고 산다. 세균들의 도시(city of microbes), 바이오필름.(Watnick and Kolter 2000) 바이오필름속 세균들의 생존력은 대폭 높아진다. 약빨이 잘 안먹히고, 오히려 항생제 내성을 높힐 수 있다는 것. 평소 장건강 구강건강을 약으로 관리할 생각을 자제해야 할 이유 3. 정교한 칫솔질과 구강세정기로 치아와 치간(interdental space, 齒間) 관리가 안되면, 점차 쌓여 잇몸피 잇몸내려앉음 같은 치주염 증상 가져옴. 다행히 구강은 직접적 물리적 위생관리가 가능한 영역 이에 반해 대장의 위생관리, 배변은 직접적으로 할 수 없다. 식이섬유라는 대장세척제와 생활습관으로 매일 배변을 간접적으로 관리할 수 밖에 없음. 통곡물 식이섬유, 현미누룽지, 김치 등이 식단에 꼭 들어가야 할 이유. 통곡물 식이섬유는 장세척제! 4. 칫솔질과 배변으로 해결되지 않는 바이오필름 세균들, 미생물들이 남아서, 구강속 대장속 영양소들을 먹고 내 뱉은 냄새가 바로 방귀와 입냄새. 방귀와 입냄새가 심하다는 것은, 그만큼 대장과 구강의 세균의 밀집도가 높다는 것. 바로 보이지 않더라도, 플라크, 대변의 세균이 어마어마하게 존재한다는 것. 5. 이런 구강과 대장의 세균들, 냄새, 독소, 들은 비단 구강과 대장에만 머물지 않는다.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돌 수 있음. 잇몸누수(leaky gum), 장누수(leaky gut) 6. 상주세균 내부에서 그들 간의 균형과 평화도 중요. 무리하게 자주 항생제를 쓰는 것 금물. 헥사메딘 같은 강한 항균제나, 99.9% 입속세균 살균한다는 가글액은, 바로 그렇기 때문에 사용을 자제해야 함. 상주세균 99.9% 를 살균한다는 것은 매우 끔직한 발상법. 화학적 계면활성제도 자제 대상. 치약을 삼키기도 하는 아이들에게선 더욱. 늘 같은 곳. 건강의 시작 입속세균관리, 건강의기본 잘먹고잘싸기 통곡물꼭꼭씹기 약은 최소로. 프로바이오틱스로 구강건강 장건강, 프로폴리스로 구강건강 폐건강
7. Sender, R., S. Fuchs and R. Milo (2016). "Revised Estimates for the Number of Human and Bacteria Cells in the Body." PLoS biology 14(8): e1002533-e1002533. 8. Watnick, P. and R. Kolter (2000). "Biofilm, city of microbes." J Bacteriol 182(10): 2675-2679.
출처 : 사과나무의료재단 김혜성이사장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