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어렵고 힘들게 느껴지는 뼈이식, 환자 상황에 맞게 적용되어야 | ||||
---|---|---|---|---|---|
작성자 | 닥스메디 | 등록일 | 2022.10.06 | 조회수 | 124222 |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심는데 양질의 뼈가 많이 남아 있을수록 심기 좋다. 이를 뺀 지 오래 지나면 잇몸뼈는 점점 약해지고 흡수된다. 남아 있는 잇몸뼈의 양이 부족하면 임플란트를 심을 때 뼈이식을 해야 한다. 이식이라는 용어가 신장이식, 간이식 같은 살아있는 장기의 이식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어렵고 힘들다는 느낌을 준다. ‘골증강술(bone augmentation)’ 또는 ‘뼈 증강술’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 이식할 때 쓸 수 있는 뼈는 매우 다양하다. 입안에서 본인의 턱뼈를 조금 떼서 쓸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기증한 뼈를 특수 처리하여 만든 동종골이나 뼈 성분으로 만든 인공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2-3가지 뼈를 섞어서 쓸 수도 있다. 아무래도 자기 자신의 뼈가 좋기는 한데 추가 수술이 필요하다. 동종골이나 인공뼈는 추가적인 수술은 필요 없지만, 효과는 본인 뼈에 비해 떨어진다. 이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경우에 맞게 적당한 뼈를 선택한다. ![]() 자기의 뼈는 뼈를 만들어내는 세포가 들어 있기 때문에 골생성 능력이 우수하다. 단점으로는 뼈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절개해야 하고, 수술 부위가 넓어지며 수술 시간도 더 걸린다. 동종골은 다른 사람이 기증한 골을 채취하여 특수 처리를 거쳐 제품화한 것이다. 골형성단백질을 함유하여 골유도 능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교차감염 및 거부반응의 위험성이 있다. ![]() 이종골은 소나 송아지 등 동물의 뼈를 채취하여 특수 처리를 거쳐 제품화한 것이다. 골생성 및 골유도 능력은 없고 주위 뼈에서 뼈가 만들어 질 때 프레임 역할을 하는 골전도 능력이 있다. 철저하게 처리를 하였다고 하나 질환 전염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합성골은 뼈 성분을 바탕으로 합성한 인공뼈로 교차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거부 반응이 없어 안전성 면에서 우수하나 자기 뼈로 바뀌는 속도가 느리다. ![]() 다양한 뼈 이식 재료가 제품화 되어 있으므로 술자는 환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해야 하고 환자도 본인 몸에 어떤 뼈를 이식하는 지 관심을 가지는 게 좋겠다. 참조말 : 사과나무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영연병원장 |
충치 예방을 위한 불소의 활용
임플란트 수명, 짧게 만드는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