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목! e기술]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 ||||
---|---|---|---|---|---|
작성자 | 닥스메디 | 등록일 | 2021.5.15 | 조회수 | 222127 |
[주목! e기술] 구강 마이크로바이옴마이크로바이옴, 박테리아 등 인체 내 미생물 미국, 중국, 한국 등 치료제 개발 나서 구강 내 미생물이 암과 치매까지 영향 미쳐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마이크로바이옴은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 인체 내 미생물을 뜻한다.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한국 등 세계 각국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연구에 한창이다. 특히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은 새로운 신약은 물론 치매 등 전신 건강과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치료제 개발에 활기를 띠고 있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 리포트 따르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성하고 있는 미생물은 공생균으로, 사람에게 필요한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생산하고 소화와 양분의 흡수를 돕는다. 또한 대사와 발달을 조절하고,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유익균이다. 하지만 서식 장소가 바뀌거나 군체의 수나 조합의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소화기 질환, 비만, 당뇨병, 자폐증, 뇌 질환 발병의 위험도를 높이는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건강과 면역체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공생 미생물로 여겨지고, 제2의 유전체라고 불린다. ![]()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주도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P) 연구 개요도.(자료=생물학연구정보센터) ◇구강 속 미생물 약 700종, 구강질환 및 암까지 연관 |
치과 구강세균관리 최신 노하우 공개